청소년도 이해하는 민법총칙 — 제2장 권리의 주체
1. 권리의 주체란?
권리의 주체는 쉽게 말하면, ‘법적으로 권리를 가질 수 있고, 책임도 질 수 있는 존재’예요.
우리가 일상에서 무언가를 가지거나, 계약하거나, 책임질 수 있는 건 법적으로 권리의 주체이기 때문이에요!
권리의 주체에는 두 종류가 있어요:
- 자연인: 실제 살아 있는 사람
- 법인: 사람처럼 활동하는 단체(학교, 회사 등)
2. 자연인이란?
자연인은 우리가 생각하는 진짜 사람이에요. 태어나면서부터 법적으로 권리를 갖게 되죠.
자연인의 3가지 능력
능력 이름 | 설명 | 예시 |
---|---|---|
권리능력 | 권리를 가질 수 있는 자격 | 태어나면 자동으로 생겨요 (예: 상속 받을 권리) |
의사능력 |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할 수 있는 능력 | 아기나 치매 환자는 부족할 수 있어요 |
행위능력 | 법적으로 혼자 행동(계약 등)할 수 있는 능력 | 청소년은 제한됨 (부모 동의 필요) |
3. 법인이란?
법인은 사람이 아니지만, 사람처럼 법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단체예요.
예시: 학교, 회사, 병원, 협동조합 등
법인은 계약도 할 수 있고, 돈도 벌 수 있고, 소송도 가능해요.
혼자서는 못하는 일을 여럿이 함께 하려고 만든 법적인 존재예요.
4. 요약!
자연인 = 실제 사람 / 법인 = 사람처럼 행동하는 단체
둘 다 법에서 '권리의 주체'로 인정받아요!
태그: 민법총칙, 권리의주체, 자연인, 법인, 청소년법공부, 법기초, 생활법률, 민법입문, 법공부, 청소년민법이해
'기술 > 행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총칙 시리즈 4편 법률행위의 요건과 무효·취소 (0) | 2025.04.09 |
---|---|
민법총칙 시리즈 3편 법률행위와 권리변동 (0) | 2025.04.09 |
민법총칙 시리즈 1편 민법의 원리 (0) | 2025.04.09 |
민법의 의의, 성질, 형식 (0) | 2025.04.07 |
2025 행정사 시험 일정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