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편] 비자연장 실패 사례 TOP 5 – 당신은 어떤 실수를 하고 있나요?

비자연장 실패 사례 TOP 5 – 당신은 어떤 실수를 하고 있나요?

“신청했는데… 비자 연장이 거절됐어요.”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실제 실패사례와 피해야 할 실수들, 지금 공개합니다.

1위. 재정 능력 입증 부족

  • 소득증빙 없음, 통장잔액 부족, 현금거래 중심
  • TIP: 급여명세서, 세무신고서류, 은행거래내역 활용

2위. 주소지 변경 미신고

  • 등록된 체류지와 실제 거주지가 다름
  • 신고 지연 시 과태료 + 연장심사 불리
  • TIP: 체류지 변경은 14일 이내 하이코리아 신고

3위. 서류 미비 또는 거짓서류 제출

  • 가짜 고용계약서, 유효기간 지난 서류 제출
  • 출입국에서는 서류 진위 여부 꼼꼼히 확인합니다
  • TIP: 원본 지참, 번역공증 필요 시 미리 준비

4위. 체류 목적과 실제 활동 불일치

  • D-2 유학생인데 출석률 저조 또는 무단휴학
  • D-10인데 알바만 하고 구직활동 기록 없음
  • TIP: 체류자격에 맞는 활동 증빙 준비

5위. 출입국 방문 예약 없이 무단 방문

  • 당일 접수 마감, 순번 없음, 서류 미리검토 실패
  • 민원센터는 방문 예약제가 기본입니다
  • TIP: www.hikorea.go.kr 예약 필수

정리하며

비자연장은 “권리”가 아니라 “심사 대상”입니다. 매번 허가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준비된 자만이 체류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38편] 체류지 신고 누락으로 과태료 받은 이야기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