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행정학 시리즈 5편: 정책이란 무엇인가?
이번 편에서는 정부가 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결정하는 것, 바로 정책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
정책은 행정학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개념이에요!
1. 정책이란?
정책(policy)은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결정하는 행동 방침이에요.
예를 들어,
- 청소년 무료 급식 정책
- 지하철 요금 조정
- 쓰레기 종량제 도입
이 모든 게 '정책'이에요.
정책의 유형 (로위의 분류)
- 분배정책: 혜택을 나눠주는 정책 (예: 장학금 지급)
- 규제정책: 어떤 활동을 제한하거나 통제 (예: 환경 규제)
- 재분배정책: 가진 자 → 못 가진 자에게 나누는 정책 (예: 복지 정책)
- 구성정책: 제도나 정부 구조에 대한 것 (예: 선거구 조정)
2. 정책형성의 4단계
- 문제 인식: “무슨 문제가 있어?” → 정책이 필요한 문제를 찾는 단계
- 목표 설정: “무엇을 이루고 싶은가?” → 방향과 기준을 정해요
- 대안 마련 및 분석: 다양한 해결책을 비교해요 (장단점, 실현 가능성)
- 정책결정: 최적의 안을 선택해요!
※ 이 과정은 항상 순서대로만 되는 건 아니고, 왔다갔다 섞이기도 해요!
3. 누가 정책을 만드는가?
- 공식 참여자: 대통령, 국회, 공무원, 지방정부
- 비공식 참여자: 시민단체, 언론, 전문가, 일반국민
→ 이익이 다른 사람들이 정책에 참여해서 자신의 입장을 관철하려고 해요.
예시 문제
- 다음 중 '정책'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개인의 자발적 행동
② 기업이 만드는 내부 규칙
③ 정부가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한 방침
④ 국외 문제를 다루는 국제조약
정답: ③
- 정책 형성 과정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대안 분석 → 목표 설정 → 문제 인식 → 결정
② 목표 설정 → 문제 인식 → 결정 → 분석
③ 문제 인식 → 목표 설정 → 대안 분석 → 결정
④ 결정 → 분석 → 문제 인식 → 목표 설정
정답: ③
한 줄 요약 퀴즈
Q. 정부가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하는 행동 방침은?
정답: 정책
태그: 정책형성, 정책학, 정책과정, 정책이론, 행정학, 행정사기초, 청소년행정학, 공공정책, 티스토리블로그
728x90
반응형
'기술 > 행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학 시리즈 7편: 정책집행과 정책평가 (0) | 2025.04.10 |
---|---|
행정학 시리즈 6편: 정책결정 이론 모형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4편: 행정윤리와 행정통제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3편: 행정학의 접근방법과 주요 이론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2편: 정부의 기능 (1)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