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시리즈 13편: 인사행정의 기초와 공무원제도
이번 편에서는 국가에서 사람을 뽑고 쓰는 법, 즉 인사행정에 대해 배워봐요.
공무원을 뽑고, 교육하고, 보상하고, 관리하는 전 과정을 알아보는 거예요.
1. 인사행정이란?
인사행정은 정부가 일할 사람(공무원)을 효율적으로 뽑고, 키우고, 관리하는 활동이에요.
- 사기업은 이익이 목적이라 인사방식이 자유롭지만,
- 정부는 공익이 목적이라 법과 원칙에 따라 인사해야 해요.
2. 인사행정의 기능
- 충원 기능: 필요한 인재를 채용함 (모집, 시험, 임용)
- 능력발전 기능: 교육, 훈련, 근무평가 등
- 사기앙양 기능: 보수, 승진, 근무환경 등
- 통제 기능: 규범, 징계, 공직윤리 등
3. 대표적인 공무원제도
① 직업공무원제
- 젊을 때 공무원으로 들어와 평생 안정적으로 일하는 제도
- 장점: 안정성, 전문성, 행정의 계속성 보장
- 단점: 폐쇄성, 혁신 저해 가능성
② 엽관제 (spoils system)
- 정치적 충성을 기준으로 공무원 임용
- 장점: 정치책임성↑, 유연성↑
- 단점: 부패, 비전문성, 행정 불안정
③ 실적제 (merit system)
- 능력과 자격이 임용 기준
- 공정성↑, 신분 보장, 정치적 중립 확보
- 단점: 지나치게 형식화될 경우 경직될 수 있음
예시 문제
- 공무원의 정치적 충성을 중시해 임용하는 방식은?
① 직업공무원제
② 실적제
③ 엽관제
④ 자격제
정답: ③
- 공무원을 능력과 자격에 따라 채용하는 제도는?
① 엽관제
② 실적제
③ 인사순환제
④ 보직교체제
정답: ②
한 줄 요약 퀴즈
Q. 공무원을 효율적으로 뽑고, 키우고, 관리하는 행정은?
정답: 인사행정
태그: 인사행정, 공무원제도, 엽관제, 실적제, 직업공무원제, 청소년행정학, 행정사시험, 공무원채용, 티스토리블로그
'기술 > 행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학 시리즈 16편: 공무원 보수, 연금, 후생복지 (0) | 2025.04.10 |
---|---|
행정학 시리즈 15편: 공무원 임용, 승진, 공직윤리와 징계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14편: 공직구조 —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12편: 조직의 생산성과 관리기법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11편: 의사소통과 의사결정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