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행정학 시리즈 14편: 공직구조 —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정부에서 공무원을 분류하고 배치할 때 어떤 기준을 쓸까요?
이번 편에서는 공직을 나누는 두 가지 대표 방식인 계급제와 직위분류제를 비교해볼게요.
1. 계급제란?
계급(rank)을 기준으로 공무원을 위계적으로 나누는 제도예요.
- 사람 중심 (개인의 능력과 자격에 따라 구분)
- 계급 간의 신분, 자격, 교육, 보수에 차이를 둬요
- 주로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등에서 운영
장점
- 사람 위주라서 장래성 있는 인재 확보에 유리
- 신분 보장이 잘돼서 안정감 있음
- 여러 부서 경험 쌓기 쉬워 협조와 연대의식 향상
단점
- 전문성 부족: 직무에 꼭 맞는 사람 뽑기 어려움
- 개방성 부족, 폐쇄적 조직이 되기 쉬움
- 직무급 체계 만들기 어려움
2. 직위분류제란?
직무(job)의 성격, 난이도, 책임도에 따라 공직을 나누는 제도예요.
- 직무 중심 (사람보다 일 위주)
- 직무를 등급(class)으로 나눔
- 대표적으로 미국, 캐나다, 필리핀 등이 사용
장점
- 적임자 임용이 쉬움
- 전문화, 직무급, 성과평가, 훈련기획 등에 유리
- 조직 내 권한·책임이 분명
단점
- 일반행정가 양성 어려움
- 조직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움
- 상위직급의 업무 통합이 어려움
3. 결론: 둘 다 쓴다!
요즘 대부분 나라들은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장점을 섞어서 사용하고 있어요.
우리나라도 계급제를 기본으로 하고, 채용·승진·보직 등에 직위분류제 요소를 반영하고 있어요.
예시 문제
- 직무의 성격과 난이도에 따라 공직을 분류하는 제도는?
① 직위분류제
② 계급제
③ 엽관제
④ 실적제
정답: ①
- 계급제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장래성 있는 인재 채용
② 직무 전문성 확보
③ 신분 보장 용이
④ 일반행정가 양성
정답: ②
한 줄 요약 퀴즈
Q. 공무원을 사람 중심으로 위계화하는 제도는?
정답: 계급제
Q. 공무원을 일(job) 중심으로 등급 나누는 제도는?
정답: 직위분류제
태그: 계급제, 직위분류제, 공직구조, 공무원제도, 인사행정, 공무원임용, 청소년행정학, 행정사시험, 티스토리블로그
728x90
반응형
'기술 > 행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학 시리즈 15편: 공무원 임용, 승진, 공직윤리와 징계 (0) | 2025.04.10 |
---|---|
행정학 시리즈 13편: 인사행정의 기초와 공무원제도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12편: 조직의 생산성과 관리기법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11편: 의사소통과 의사결정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10편: 조직행태론 — 동기, 리더십, 갈등관리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