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시리즈 15편: 공무원 임용, 승진, 공직윤리와 징계

행정학 시리즈 15편: 공무원 임용, 승진, 공직윤리와 징계

이번 편에서는 공무원이 어떻게 채용되고, 승진하며, 윤리를 지키지 못했을 때 어떻게 징계받는지를 정리할게요.
공무원의 시작과 끝, 책임을 모두 다루는 중요한 단원이에요.


1. 공무원 임용

임용이란 공무원을 새로 뽑거나, 자리를 옮기거나, 해임하는 전체적인 절차를 말해요.

① 신규채용 방법

  • 공개경쟁채용: 일반 시험 (예: 9급 공채)
  • 경력경쟁채용: 특정 자격·경력 보유자 채용 (예: 변호사, 북한이탈주민 등)

② 내부임용

  • 수직이동: 승진, 강임, 강등
  • 수평이동: 전보, 전직, 파견, 겸임
  • 신분이동: 휴직, 면직, 해임, 파면 등

2. 공무원 승진

승진계급이나 직위를 높여 주는 것이에요.

  • 성과평가, 근무연수, 교육훈련 성과 등이 기준이 돼요.
  •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가 중요해요.

3. 공직윤리

공무원은 법만 지키는 게 아니라 높은 윤리 기준도 따라야 해요.

대표적인 윤리 규범 (국가공무원법 기준)

  • 성실의무
  • 복종의무
  • 청렴의무
  • 품위유지의무
  • 정치운동 금지
  • 비밀엄수, 종교중립 등

윤리 실천 제도

  • 공직자 재산등록
  • 부패방지법, 공직자윤리법
  • 청렴 서약, 행동강령, 선서제도

4. 공무원 징계

공직윤리를 위반하거나 문제가 생기면 징계를 받게 돼요.

징계의 종류

  • 파면: 공무원 자격 완전히 상실
  • 해임: 파면보단 가벼움. 재임용 제한
  • 정직: 일정 기간 직무 정지
  • 감봉, 견책: 급여 삭감 또는 주의 조치

소청심사 제도

공무원이 부당하다고 생각되면 소청심사위원회에 이의제기할 수 있어요.


예시 문제

  1. 공무원을 정식 채용하기 전 일정 기간 임시로 채용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나요?
    ① 시보임용
    ② 전보
    ③ 정직
    ④ 파면

    정답: ①

  2. 공무원이 부당한 처분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제도는?
    ① 고충처리
    ② 감사청구
    ③ 소청심사
    ④ 탄원제도

    정답: ③


한 줄 요약 퀴즈

Q. 공무원의 잘못을 심사해 제재하는 제도는?
정답: 징계


태그: 공무원임용, 공무원승진, 공직윤리, 공무원징계, 소청심사, 청렴의무, 청소년행정학, 행정사시험, 티스토리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