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 시리즈 4편: 행정법은 어떻게 구성돼 있나요?

행정법 시리즈 4편: 행정법은 어떻게 구성돼 있나요?

이번 편에서는 행정법이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크게 보면 총론, 각론, 쟁송법으로 나뉘어요.


1. 행정법의 큰 구조 (3단 구분)

행정법은 아래 세 부분으로 구성돼요:

  • ① 일반행정법 (총론): 행정의 기본 원리와 절차, 조직 등 공통된 원칙
  • ② 특별행정법 (각론): 세부 분야별 행정 (예: 경찰, 교육, 환경, 지방자치 등)
  • ③ 행정쟁송법: 행정에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는 법 (행정심판, 행정소송)

→ 형법이 총론·각론으로 나뉘듯, 행정법도 총론·각론 + 소송법 구조로 나뉘는 거예요.


2. 총론이란?

일반행정법(총론)은 모든 행정 영역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개념과 원칙을 말해요.

  • 행정의 기본 원칙 (예: 법률유보, 신뢰보호)
  • 행정조직, 행정절차, 행정행위
  • 공통된 규범을 정리해놓은 기본 이론

3. 각론이란?

특별행정법(각론)은 분야별로 적용되는 구체적인 행정법이에요.

  • 경찰법, 환경법, 경제행정법, 공무원법, 세법, 지방자치법 등
  • ‘이 분야에는 이런 규칙이 있다!’는 식으로 따로따로 적용

→ 각론은 ‘행정의 현장’에 가까워요.


4. 행정쟁송법이란?

행정기관의 잘못된 결정에 국민이 이의제기할 수 있는 제도를 담은 법이에요.

  • 행정심판법: 행정부 내부에서 심사하는 제도
  • 행정소송법: 법원에 가서 따지는 절차

→ 행정쟁송법은 국민 권리를 지키는 방패라고 할 수 있어요!


예시 문제

  1. 행정법 중 행정소송·심판을 다루는 분야는?
    ① 총론
    ② 각론
    ③ 쟁송법
    ④ 민사법

    정답: ③

  2. 특정 분야별로 적용되는 행정법은?
    ① 일반행정법
    ② 특별행정법
    ③ 행정쟁송법
    ④ 헌법

    정답: ②


한 줄 요약 퀴즈

Q. 행정법은 총론, 각론, ○○○○법으로 구성된다. ○○에 들어갈 말은?
정답: 쟁송


태그: 행정법구조, 일반행정법, 특별행정법, 행정쟁송법, 행정소송, 행정심판, 청소년행정학, 행정사시험, 티스토리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