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시리즈 13편: 인사행정의 기초와 공무원제도
·
기술/행정사
행정학 시리즈 13편: 인사행정의 기초와 공무원제도이번 편에서는 국가에서 사람을 뽑고 쓰는 법, 즉 인사행정에 대해 배워봐요.공무원을 뽑고, 교육하고, 보상하고, 관리하는 전 과정을 알아보는 거예요.1. 인사행정이란?인사행정은 정부가 일할 사람(공무원)을 효율적으로 뽑고, 키우고, 관리하는 활동이에요. 사기업은 이익이 목적이라 인사방식이 자유롭지만, 정부는 공익이 목적이라 법과 원칙에 따라 인사해야 해요.2. 인사행정의 기능 충원 기능: 필요한 인재를 채용함 (모집, 시험, 임용) 능력발전 기능: 교육, 훈련, 근무평가 등 사기앙양 기능: 보수, 승진, 근무환경 등 통제 기능: 규범, 징계, 공직윤리 등3. 대표적인 공무원제도① 직업공무원제 젊을 때 공무원으로 들어와 평생 안정적으로 일하는 ..
행정학 시리즈 14편: 공직구조 —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기술/행정사
행정학 시리즈 14편: 공직구조 —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정부에서 공무원을 분류하고 배치할 때 어떤 기준을 쓸까요?이번 편에서는 공직을 나누는 두 가지 대표 방식인 계급제와 직위분류제를 비교해볼게요.1. 계급제란?계급(rank)을 기준으로 공무원을 위계적으로 나누는 제도예요. 사람 중심 (개인의 능력과 자격에 따라 구분) 계급 간의 신분, 자격, 교육, 보수에 차이를 둬요 주로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등에서 운영장점 사람 위주라서 장래성 있는 인재 확보에 유리 신분 보장이 잘돼서 안정감 있음 여러 부서 경험 쌓기 쉬워 협조와 연대의식 향상단점 전문성 부족: 직무에 꼭 맞는 사람 뽑기 어려움 개방성 부족, 폐쇄적 조직이 되기 쉬움 직무급 체계 만들기 어려움2. 직위분류제란?직무(job)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