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시리즈 11편: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조직이 잘 굴러가기 위해선 정보가 잘 전달되고, 좋은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해요.이번 편에서는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디시전 메이킹)에 대해 알아볼게요.1.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란?사람들끼리 정보, 생각, 의미를 주고받는 과정이에요.구성요소 (8단계) 발신자 → 코드화 → 발송 → 매체 → 수신자 → 해독 → 환류 → 장애요소의사소통의 유형 공식적 의사소통: 조직 내부의 공식 경로를 통해 전달 비공식적 의사소통: ‘소문’처럼 사적인 경로로 퍼지는 정보의사소통의 방향 수직적: 상하 관계 간(상급자 → 하급자 / 하급자 → 상급자) 수평적: 같은 계층 간 협조 대각선적: 다른 부서, 다른 계층 간의사소통 장애요소 정보 과다, ..
행정학 시리즈 6편: 정책결정 이론 모형이번 편에서는 정부가 정책을 결정할 때 어떤 방식으로 결정을 내리는가에 대해 다양한 이론(모형)으로 설명해볼게요. 시험에 자주 나오는 파트입니다!1. 합리모형“완벽한 정보 + 모든 대안 분석 = 최선의 한 가지 선택” 가장 이상적인 모형, 최선의 대안(one best way)을 선택해요 정보, 시간, 분석 능력이 충분하다는 가정 아래 작동 단점: 현실에서는 정보도 부족하고, 시간도 없어요!2. 만족모형 (제한된 합리성)“현실적으로 괜찮은 정도면 OK!” 모든 대안 분석은 무리 → 일부 대안만 비교하고 ‘그럭저럭 만족할 만한 것’을 선택 제한된 정보, 인간의 한계를 반영한 현실적인 모형 중요개념: 제한된 합리성 (bounded rationality)3.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