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문장에는 능동태(active voice)와 수동태(passive voice)가 있습니다. 문장의 주어가 동사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능동태라고 하죠. 행위자가 대상에 동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동사앞에 오는 것이죠. 능동태 : 주어 (행위자) → 동사 (동작, 행위) → 목적어 (동작 행위의 대상) 이것이 가장 기본적인 영어적 사고이고 이것이 영어 어순에 그대로 나타나는 것이죠. "주어가 어떠한 행위를 한다. 그 행위의 대상이 목적어다." Michelangelo painted the ceiling of the Sistine Chapel.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성장의 천장에 그림을 그렸다. (능동태) 수동태는 주어가 동사의 행위와 동작을 받거나 당하는 형태입니다. 수동태는 어떤 일이 벌어..
(1) 일반분사(즉 동사의 현재분사, 과거분사형)이 쓰임 - 분사구문의 의미상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와 일치 The sun rising over the mountain, we marched again. 태양이 산 위로 떠오를 때 우리들은 다시 행군했다. 주절 : we marched again (과거시제) 분사구문 : The sun rising over the mountain (현재분사, 주절의 시제와 일치) = When the sun rose over the mountain(과거시제) = When the sun rose over the mountain, we marched again Written in English, the book is difficult to read. 그 책은 영어로 쓰여 있기 때문에..
(1) 분사구문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일치 : 주어 명시 X (2) 분사구문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를 때 : 주어 명시 (3) 분사구문의 주어가 일반적 주어(총칭)(we, one, you)일 때 : 주어 명시 X (1) 분사구문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일치 : 주어 명시 X Living in the country, he has few visitors. 그는 시골에 살고 있기 때문에 찾아오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 해설 : 분사구문이자 종속절인 Living in the country 와 주절 he has few visitors 의 주어는 모두 he 이다. 그래서 living 앞에 주어가 명시되지 않음. (2) 분사구문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를 때 : 주어 명시 The sun(s) rising ove..
분사구문이 주절 앞에 올 때 : 분사구문(종속절) + 주절 Living in the country, he has few visitors. 그는 시골에 살고 있기 때문에 찾아오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 원래문장 : As he lives in the country, he has few visitors. 줄인문장(분사구문 이용) : Living in the country, he has few visitors. 종속절 : living in the country 해설 : 종속절 living in the coutry는 주절의 동사 has를 수식한다. 동사를 수식하면, 부사다. 그러므로 living in the country는 부사절이다.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 Living in the country(분사구문,종..
구문이란, 1) 주어와 술어가 없다. 2) 한 문장 속에서 또다른 하나의 문장과 같은 구실을 한다. 그래서 등위절, 종속절이 됨(분사구문에서는 형용사절, 부사절만, 명사절 X) 종속절이란, ▶ 주절 : 자신이 주(main)된 기능을 하는 절 입니다. ▶ 종속절 : 자신이 주(main)된 요소의 절이 아니라 종(subordinate), 즉, 작은기능을 하는 절을 말하는데, 작은 기능이라함은 주절속에서 지 하나의 품사( 명사 or 형용사 or 부사 ) 역할만을 수행하는 절입니다 ▶ 만약 하나의 문장에 하나의 절 이 있으면 그 절은 주된 역할을 하는 주절 입니다. * He likes all kinds of sports. ▶ 만약 하나의 문장에 두개의 절 이 있으면 접속사가 하나 필요한데, 그 접속사의 성격이 ..
조동사와 본동사 조동사란 동사를 보조해 주는 동사이다. 본동사와 함께 쓰여서 본동사의 뜻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하므로 조동사라고 한다. ○ 형태 : 조동사 + 본동사 조동사는 홀로 쓰이지 못하며 반드시 본동사와 함께 쓰인다. 본동사란 조동사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주어 다음에 오며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며 반드시 있어야 하는 동사이다. 조동사는 없어도 상관 없으나 본동사가 없이는 문장이 성립안된다. ◎ 같은 동사가 조동사로도 쓰이고 본동사로도 쓰이므로 이를 잘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① You have it. (본동사 have) 너는 그것을 가지고 있다. →① have는 가지다의 뜻을 가진 일반동사(본동사)이다. ② You have done it.(조동사 have) 너는 그것을 했다. →② 「ha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