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행정학 시리즈 11편: 의사소통과 의사결정
조직이 잘 굴러가기 위해선 정보가 잘 전달되고, 좋은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해요.
이번 편에서는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디시전 메이킹)에 대해 알아볼게요.
1.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란?
사람들끼리 정보, 생각, 의미를 주고받는 과정이에요.
구성요소 (8단계)
- 발신자 → 코드화 → 발송 → 매체 → 수신자 → 해독 → 환류 → 장애요소
의사소통의 유형
- 공식적 의사소통: 조직 내부의 공식 경로를 통해 전달
- 비공식적 의사소통: ‘소문’처럼 사적인 경로로 퍼지는 정보
의사소통의 방향
- 수직적: 상하 관계 간(상급자 → 하급자 / 하급자 → 상급자)
- 수평적: 같은 계층 간 협조
- 대각선적: 다른 부서, 다른 계층 간
의사소통 장애요소
- 정보 과다, 시간 압박, 왜곡, 계층제, 불신 등
2.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여러 선택지 중에서 하나를 고르는 것이에요.
조직에서는 정책을 결정하거나, 업무 방향을 정하는 것이 이에 해당돼요.
의사결정 모형
- 합리모형: 모든 정보를 분석해서 최선의 선택을 추구
- 만족모형: 괜찮은 선에서 적당히 만족하는 대안을 선택
- 점증모형: 기존 것에 약간만 보완해서 결정
- 혼합탐사모형: 큰 틀은 합리적으로, 세부는 점진적으로
- 쓰레기통 모형: 문제, 해결책, 참여자가 우연히 만나서 결정됨
엘리슨 모형 (정책결정 이해)
- ① 합리적 행위자 모형
- ② 조직과정 모형
- ③ 관료정치 모형
→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같은 결정도 다르게 해석될 수 있어요.
예시 문제
- 다음 중 공식적 의사소통의 예가 아닌 것은?
① 업무 지시 메일
② 부서 간 회의
③ 친구와의 사담
④ 조직 공지사항
정답: ③
- ‘모든 정보를 분석해서 가장 합리적인 대안을 선택’하는 모형은?
① 만족모형
② 점증모형
③ 쓰레기통모형
④ 합리모형
정답: ④
한 줄 요약 퀴즈
Q. 사람들 사이에 정보를 주고받아 의미를 공유하는 과정은?
정답: 의사소통
태그: 의사소통, 의사결정, 의사소통장애, 합리모형, 만족모형, 쓰레기통모형, 조직의사결정, 청소년행정학, 행정사시험, 티스토리블로그
728x90
반응형
'기술 > 행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학 시리즈 14편: 공직구조 —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0) | 2025.04.10 |
---|---|
행정학 시리즈 12편: 조직의 생산성과 관리기법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10편: 조직행태론 — 동기, 리더십, 갈등관리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9편: 조직이론과 조직구조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8편: 정책변동이란?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