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시리즈 13편: 인사행정의 기초와 공무원제도이번 편에서는 국가에서 사람을 뽑고 쓰는 법, 즉 인사행정에 대해 배워봐요.공무원을 뽑고, 교육하고, 보상하고, 관리하는 전 과정을 알아보는 거예요.1. 인사행정이란?인사행정은 정부가 일할 사람(공무원)을 효율적으로 뽑고, 키우고, 관리하는 활동이에요. 사기업은 이익이 목적이라 인사방식이 자유롭지만, 정부는 공익이 목적이라 법과 원칙에 따라 인사해야 해요.2. 인사행정의 기능 충원 기능: 필요한 인재를 채용함 (모집, 시험, 임용) 능력발전 기능: 교육, 훈련, 근무평가 등 사기앙양 기능: 보수, 승진, 근무환경 등 통제 기능: 규범, 징계, 공직윤리 등3. 대표적인 공무원제도① 직업공무원제 젊을 때 공무원으로 들어와 평생 안정적으로 일하는 ..
행정학 시리즈 14편: 공직구조 —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정부에서 공무원을 분류하고 배치할 때 어떤 기준을 쓸까요?이번 편에서는 공직을 나누는 두 가지 대표 방식인 계급제와 직위분류제를 비교해볼게요.1. 계급제란?계급(rank)을 기준으로 공무원을 위계적으로 나누는 제도예요. 사람 중심 (개인의 능력과 자격에 따라 구분) 계급 간의 신분, 자격, 교육, 보수에 차이를 둬요 주로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등에서 운영장점 사람 위주라서 장래성 있는 인재 확보에 유리 신분 보장이 잘돼서 안정감 있음 여러 부서 경험 쌓기 쉬워 협조와 연대의식 향상단점 전문성 부족: 직무에 꼭 맞는 사람 뽑기 어려움 개방성 부족, 폐쇄적 조직이 되기 쉬움 직무급 체계 만들기 어려움2. 직위분류제란?직무(job)의..
행정학 시리즈 12편: 조직의 생산성과 관리기법이번 편에서는 조직이 더 잘 일하고 성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MBO, TQM, 팀제, 품질관리 서클 등의 생산성 향상 기법을 배워볼게요.1. 목표관리(MBO: Management by Objectives)MBO는 목표를 미리 정해두고, 그 결과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식이에요. 상하 직원이 함께 목표를 설정 자율적으로 일하고, 결과로 평가 참여와 성과 중심 관리MBO는 공무원 조직에서도 목표 달성 책임을 분명히 하는 데 쓰여요.2. 총체적 품질관리(TQM: Total Quality Management)TQM은 모든 직원이 품질 향상을 위해 협력하는 전사적 운동이에요. 고객 중심, 지속적인 개선 강조 현장 문제 해결 중심 협업과 피드백이 핵심현장..
행정학 시리즈 11편: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조직이 잘 굴러가기 위해선 정보가 잘 전달되고, 좋은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해요.이번 편에서는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디시전 메이킹)에 대해 알아볼게요.1.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란?사람들끼리 정보, 생각, 의미를 주고받는 과정이에요.구성요소 (8단계) 발신자 → 코드화 → 발송 → 매체 → 수신자 → 해독 → 환류 → 장애요소의사소통의 유형 공식적 의사소통: 조직 내부의 공식 경로를 통해 전달 비공식적 의사소통: ‘소문’처럼 사적인 경로로 퍼지는 정보의사소통의 방향 수직적: 상하 관계 간(상급자 → 하급자 / 하급자 → 상급자) 수평적: 같은 계층 간 협조 대각선적: 다른 부서, 다른 계층 간의사소통 장애요소 정보 과다, ..
행정학 시리즈 10편: 조직행태론 — 동기, 리더십, 갈등관리조직이 잘 돌아가려면 사람들(조직 구성원)이 어떻게 행동하느냐가 정말 중요해요.이번 편에서는 조직 속 사람들의 마음, 관계, 갈등을 다루는 이론들을 배워볼게요.1. 동기이론동기부여(motivation)는 사람들이 일을 열심히 하도록 자극을 주는 거예요.① 내용이론 (무엇이 사람을 움직이게 하나?) 매슬로의 욕구 5단계 이론: 생리 → 안전 → 사회 → 존경 → 자아실현 허즈버그의 2요인 이론: 위생요인(불만 예방) vs 동기요인(만족 유발)② 과정이론 (사람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할까?) 기대이론: “노력하면 성과 나고, 성과 나면 보상받는다” 믿음 형평성이론: “나는 노력한 만큼 보상 받는가?”2. 리더십 이론리더십은 사람들을 움직이게 ..
행정학 시리즈 9편: 조직이론과 조직구조이번 편에서는 정부조직이 어떻게 구성되고, 그 안에서 어떤 생각(이론)으로 운영되는지를 배우는 시간이에요.1. 조직이란 무엇인가?조직이란 특정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사람들이 모여 협력하는 사회적 단위예요.예를 들어, 학교, 경찰서, 시청 같은 것도 모두 하나의 조직이에요.정부조직은 공공의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조직으로, 정해진 임무를 위해 분업과 협력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2. 고전적 조직이론고전이론은 조직을 기계처럼 생각했어요. 효율과 통제를 중요시했죠. 과학적 관리론 (테일러): 일 잘하게 하려면 과학적으로 관리하자! 관료제 이론 (베버): 규칙과 계층제, 전문성이 강조됨비판: 사람을 감정 없는 부품처럼 본다는 한계가 있었어요.3. 인간관계론인간관계론은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