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시리즈 8편: 정책변동이란?
정책은 한 번 만들고 끝나는 게 아니에요.
현실이 바뀌면 정책도 변화(변동)해야 해요.
이번 편에서는 정책이 어떻게, 왜, 어떤 방식으로 변하는지 배워볼 거예요.
1. 정책변동이란?
정책변동(policy change)이란 정부가 이미 만든 정책을 다시 바꾸거나, 수정하거나, 없애는 것을 말해요.
변동의 대상은 다양해요:
- 정책의 목표
- 정책을 누가, 어떻게 집행하느냐
- 정책의 내용이나 대상
2. 정책변동의 유형 (Hogwood & Peters)
- 정책혁신: 완전히 새로운 정책을 만드는 것
예: 정부가 처음으로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할 때 - 정책유지: 기본 틀은 유지하되, 시대 변화에 맞게 살짝 바꿈
- 정책승계: 정책의 기본 목표는 유지하면서, 내용은 크게 수정
가장 흔히 일어나는 형태예요 - 정책종결: 아예 정책을 없애는 것
예: 효과 없거나 부작용 큰 정책을 폐지
3. 정책이 왜 변할까? (변화 요인)
- 환경 변화: 경제 상황, 인구 구조, 기술 등 현실의 변화
- 정권 교체: 대통령이나 집권당이 바뀌면 정책도 바뀌어요
- 정책 실패: 기존 정책이 효과 없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 국민 요구: 여론, 시민단체의 주장, 집단 이익 갈등
예시 문제
- 다음 중 기존 정책의 기본 틀은 유지하되, 시대 변화에 맞춰 일부만 수정하는 정책변동은?
① 정책혁신
② 정책유지
③ 정책승계
④ 정책종결
정답: ②
- 다음 중 정책변동이 일어나는 원인이 아닌 것은?
① 정책의 효과성
② 국민 여론의 변화
③ 정책에 대한 무관심
④ 환경 변화
정답: ③
한 줄 요약 퀴즈
Q. 정책을 없애거나 새롭게 바꾸는 모든 과정을 뭐라고 할까요?
정답: 정책변동
태그: 정책변동, 정책변경, 정책혁신, 정책종결, 정책승계, 행정사시험, 청소년행정학, 정책론, 정책변동이론, 티스토리블로그
'기술 > 행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학 시리즈 10편: 조직행태론 — 동기, 리더십, 갈등관리 (0) | 2025.04.10 |
---|---|
행정학 시리즈 9편: 조직이론과 조직구조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7편: 정책집행과 정책평가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6편: 정책결정 이론 모형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5편: 정책이란 무엇인가?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