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시리즈 19편: 전자정부와 공공서비스 혁신
이번 편에서는 정부가 기술을 활용해 더 똑똑하게 일하고, 시민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전자정부와 서비스 혁신에 대해 알아볼게요.
1. 전자정부란?
전자정부(e-government)는 정보기술(IT)을 활용해 행정서비스를 더 빠르고 투명하게 제공하는 정부예요.
주요 특징
- 정보화: 모든 행정 정보가 전산화되어 있음
- 접근성: 국민 누구나 인터넷으로 서비스 이용 가능
- 투명성: 행정 절차가 공개되고, 부패 가능성이 줄어듦
- 고객지향성: 국민 편의를 최우선!
도입 효과
- 시간·비용 절약
- 신속한 민원 처리
- 시민 참여 확대
예: 정부24, 민원24, 전자민원창구, 전자세금계산서 등
2. 디지털 행정과 스마트 행정
전자정부가 발전하면서 디지털 행정 → 스마트 행정으로 나아가고 있어요.
스마트 행정이란?
-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행정
- 맞춤형 서비스, 실시간 민원처리, 예측 가능한 정책 가능
3. 공공서비스 혁신
공공서비스 혁신은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더 나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변화를 의미해요.
대표 전략
- 민간협력: 정부 혼자 하지 않고 민간과 함께
- 사용자 참여: 시민이 직접 정책 설계에 참여
- 성과 중심: 서비스 제공 결과를 측정하고 개선
예: 행정정보 공동이용, 주민참여예산, 스마트시티 구축 등
예시 문제
- 전자정부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민원절차의 자동화
② 전산화된 정보 기반
③ 국민 접근성 제한
④ 행정의 투명성 증가
정답: ③
- AI·빅데이터를 활용해 맞춤형 행정을 구현하는 것은?
① 전통 행정
② 스마트 행정
③ 엽관 행정
④ 형식 행정
정답: ②
한 줄 요약 퀴즈
Q. 인터넷과 IT를 이용해 빠르고 투명한 정부를 만드는 걸 뭐라고 해요?
정답: 전자정부
태그: 전자정부, 디지털행정, 스마트행정, 공공서비스혁신, AI행정, 민관협력, 시민참여, 청소년행정학, 행정사시험, 티스토리블로그
'기술 > 행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법 시리즈 1편: 행정이란 무엇인가? (2) | 2025.04.10 |
---|---|
행정학 시리즈 20편: 미래 행정과 지속가능한 정부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18편: 공무원 교육훈련과 역량개발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17편: 공무원 성과평가와 고충처리 제도 (0) | 2025.04.10 |
행정학 시리즈 16편: 공무원 보수, 연금, 후생복지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