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 시리즈 19편: 행정지도와 행정계획
이번 편에서는 행정청이 법적 강제력 없이 유도·조언하는 행정지도와, 미래를 준비하고 계획하는 행정계획에 대해 배워볼게요.
1. 행정지도란?
행정청이 국민에게 어떤 행동을 하거나 하지 말라고 권유·안내하는 행정활동이에요.
- 예: 담배판매 자제 권고, 소음 자율감소 요청, 자율정비 유도 등
특징
- 비권력적 행위: 강제성이 없음
- 사실행위: 허가나 처분이 아님
- 절차 보장: 행정청은 내용과 신분을 밝히고, 국민은 의견 제출 가능
문제점
- 사실상 강제처럼 느껴지는 경우 있음
- 책임소재와 구제절차가 모호함
2. 행정계획이란?
국가나 지자체가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정책 설계도예요.
- 예: 도시계획, 환경보전계획, 교통정비계획 등
법적 성질
- 계획마다 다름 (법규, 행정행위, 사실행위 등 다양)
- 도시계획 결정처럼 구체적인 처분이 되면 행정소송의 대상이 될 수 있어요
국민 참여
- 여러 사람의 권익에 영향을 미치므로 입안·결정 시 의견 수렴이 매우 중요해요
법적 구속력
- 계획에 따라 개인의 권리를 제한할 수 있음 (예: 개발제한)
- 그러나 계획 변경을 요구할 권리는 없음
예시 문제
- 행정지도의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비권력적
② 사실행위
③ 법적 강제력 있음
④ 내용과 신분 공개 필요
정답: ③
- 다음 중 행정계획에 해당하는 것은?
① 세금 부과
② 영업정지 명령
③ 도시기본계획 수립
④ 민사계약 체결
정답: ③
한 줄 요약 퀴즈
Q. 국가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만드는 정책 설계도는?
정답: 행정계획
태그: 행정지도, 행정계획, 도시계획, 행정지도절차, 의견청취, 계획구속력, 청소년행정학, 행정사시험, 티스토리블로그
'기술 > 행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법 시리즈 20편: 공법상 계약과 행정사법작용 (0) | 2025.04.11 |
---|---|
행정법 시리즈 18편: 행정정보공개와 개인정보 보호 (0) | 2025.04.11 |
행정법 시리즈 17편: 행정절차법이란? (0) | 2025.04.11 |
행정법 시리즈 16편: 행정행위의 하자와 구제 (0) | 2025.04.11 |
행정법 시리즈 15편: 행정행위의 효력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