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 시리즈 17편: 행정절차법이란?

행정법 시리즈 17편: 행정절차법이란?

행정절차법은 행정청이 국민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허가를 내릴 때 지켜야 하는 절차의 원칙을 정한 법이에요.
“행정도 법대로, 절차대로!”라는 생각에서 만들어졌어요.


1. 왜 행정절차가 중요할까?

  • 국민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 행정의 투명성과 신뢰 확보
  • 불공정하거나 일방적인 결정을 방지

→ 그래서 신청, 통지, 청문, 이유제시 등의 절차가 필요해요.


2. 행정절차법의 적용 대상

행정절차법은 처분, 신고, 행정예고, 행정지도 등에 적용돼요.

다만, 징집·소집 같은 군사 관련 업무는 적용 예외예요.


3. 주요 절차 요건

① 신청 → 처리기준 공표

  • 국민이 허가·등록 등을 신청할 수 있고,
  • 행정청은 처리기준과 기간을 미리 정하고 공개해야 해요.

② 사전통지

  • 국민에게 불리한 처분을 할 땐 미리 그 이유와 내용을 알려야 해요.

③ 의견청취 (청문·공청회·서면제출)

  • 당사자에게 자신의 의견을 낼 기회를 줘야 해요.
  • 예외: 의견 듣기가 명백히 불필요한 경우 등은 생략 가능

④ 이유제시

  • 행정청은 왜 그런 결정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해요.

⑤ 통지와 불복고지

  • 결과를 등기우편·전자문서 등으로 당사자에게 알려야 하고,
  • 불복절차(행정심판·소송)도 함께 안내해야 해요.

4. 하자를 무시하면?

절차를 어긴 행정행위는 취소 대상이 될 수 있어요.
예: 사전통지 없이 영업정지 처분 → 위법


예시 문제

  1. 행정절차에서 청문, 공청회, 의견제출은 무엇을 위한 절차인가요?
    ① 불복신청
    ② 사전통지
    ③ 의견청취
    ④ 행정소송

    정답: ③

  2. 행정청이 불이익한 처분을 하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① 행정심판
    ② 법률 개정
    ③ 사전통지
    ④ 즉시 실행

    정답: ③


한 줄 요약 퀴즈

Q. 행정청이 불이익한 결정을 하기 전에 국민에게 알려주고 의견을 듣는 절차는?
정답: 행정절차법의 사전통지·의견청취


태그: 행정절차법, 사전통지, 청문, 의견제출, 이유제시, 행정절차하자, 청소년행정학, 행정사시험, 티스토리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