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시리즈 17편: 공무원 성과평가와 고충처리 제도이번 편에서는 공무원의 성과를 평가하는 제도와, 일하면서 생기는 불만과 고충을 해결하는 제도에 대해 배워볼게요.1. 성과평가와 근무성적평정공무원이 얼마나 잘 일했는지 평가하는 제도예요. 성과에 따라 승진, 보수, 교육기회 등에 영향을 줘요.근무성적평정의 대상 4~5급 이상: 성과계약 평가 5급 이하: 근무성적평정 + 경력평정 + 가점평정주요 평정방법 도표식 평정척도법: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 항목별 점수 부여 중요사건기록법: 성과에 영향을 준 중요한 사건 중심으로 평가 강제배분법: 우수-보통-미흡 인원 비율을 미리 정해서 배분 목표관리법(MBO): 목표 설정 후 결과로 평가※ 평정 결과에 이의가 있으면 근무성적평가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할..
행정학 시리즈 16편: 공무원 보수, 연금, 후생복지이번 편에서는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보수(급여), 퇴직 후 받는 연금, 복지제도에 대해 알아볼게요.공무원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제도들이에요.1. 공무원 보수란?보수는 공무원이 일한 대가로 받는 경제적 보상이에요.보수의 구성 봉급: 기본급, 직무·능력·자격 기준 수당: 특수한 조건(가족, 야근, 위험 등)에 따라 추가 지급보수결정 방식 3가지 근속급: 근무한 기간(연수)에 따라 상승 직무급: 직무의 난이도·책임도에 따라 차등 지급 직능급: 개인의 능력이나 숙련도에 따라 지급2. 공무원 연금 제도공무원이 퇴직 후에도 안정된 삶을 살 수 있게 도와주는 장기소득보장제도예요.운영방식 기금제: 정부와 공무원이 돈을 모아 적립 → 연..
행정학 시리즈 15편: 공무원 임용, 승진, 공직윤리와 징계이번 편에서는 공무원이 어떻게 채용되고, 승진하며, 윤리를 지키지 못했을 때 어떻게 징계받는지를 정리할게요.공무원의 시작과 끝, 책임을 모두 다루는 중요한 단원이에요.1. 공무원 임용임용이란 공무원을 새로 뽑거나, 자리를 옮기거나, 해임하는 전체적인 절차를 말해요.① 신규채용 방법 공개경쟁채용: 일반 시험 (예: 9급 공채) 경력경쟁채용: 특정 자격·경력 보유자 채용 (예: 변호사, 북한이탈주민 등)② 내부임용 수직이동: 승진, 강임, 강등 수평이동: 전보, 전직, 파견, 겸임 신분이동: 휴직, 면직, 해임, 파면 등2. 공무원 승진승진은 계급이나 직위를 높여 주는 것이에요. 성과평가, 근무연수, 교육훈련 성과 등이 기준이 돼요. 공..
행정학 시리즈 13편: 인사행정의 기초와 공무원제도이번 편에서는 국가에서 사람을 뽑고 쓰는 법, 즉 인사행정에 대해 배워봐요.공무원을 뽑고, 교육하고, 보상하고, 관리하는 전 과정을 알아보는 거예요.1. 인사행정이란?인사행정은 정부가 일할 사람(공무원)을 효율적으로 뽑고, 키우고, 관리하는 활동이에요. 사기업은 이익이 목적이라 인사방식이 자유롭지만, 정부는 공익이 목적이라 법과 원칙에 따라 인사해야 해요.2. 인사행정의 기능 충원 기능: 필요한 인재를 채용함 (모집, 시험, 임용) 능력발전 기능: 교육, 훈련, 근무평가 등 사기앙양 기능: 보수, 승진, 근무환경 등 통제 기능: 규범, 징계, 공직윤리 등3. 대표적인 공무원제도① 직업공무원제 젊을 때 공무원으로 들어와 평생 안정적으로 일하는 ..
행정학 시리즈 14편: 공직구조 —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정부에서 공무원을 분류하고 배치할 때 어떤 기준을 쓸까요?이번 편에서는 공직을 나누는 두 가지 대표 방식인 계급제와 직위분류제를 비교해볼게요.1. 계급제란?계급(rank)을 기준으로 공무원을 위계적으로 나누는 제도예요. 사람 중심 (개인의 능력과 자격에 따라 구분) 계급 간의 신분, 자격, 교육, 보수에 차이를 둬요 주로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등에서 운영장점 사람 위주라서 장래성 있는 인재 확보에 유리 신분 보장이 잘돼서 안정감 있음 여러 부서 경험 쌓기 쉬워 협조와 연대의식 향상단점 전문성 부족: 직무에 꼭 맞는 사람 뽑기 어려움 개방성 부족, 폐쇄적 조직이 되기 쉬움 직무급 체계 만들기 어려움2. 직위분류제란?직무(job)의..
행정학 시리즈 12편: 조직의 생산성과 관리기법이번 편에서는 조직이 더 잘 일하고 성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MBO, TQM, 팀제, 품질관리 서클 등의 생산성 향상 기법을 배워볼게요.1. 목표관리(MBO: Management by Objectives)MBO는 목표를 미리 정해두고, 그 결과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식이에요. 상하 직원이 함께 목표를 설정 자율적으로 일하고, 결과로 평가 참여와 성과 중심 관리MBO는 공무원 조직에서도 목표 달성 책임을 분명히 하는 데 쓰여요.2. 총체적 품질관리(TQM: Total Quality Management)TQM은 모든 직원이 품질 향상을 위해 협력하는 전사적 운동이에요. 고객 중심, 지속적인 개선 강조 현장 문제 해결 중심 협업과 피드백이 핵심현장..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