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 시리즈 14편: 행정행위란 무엇인가?

행정법 시리즈 14편: 행정행위란 무엇인가?

‘행정행위’는 행정청이 국민에게 법적으로 영향을 주는 공식적인 결정을 말해요.
단순한 안내문이나 공고와는 달라요. 행정행위는 법적 효과가 발생해요.


1. 행정행위란?

행정청이 구체적인 사실에 대해 법을 집행하는 행위로서, 국민의 권리나 의무에 영향을 미치는 단독 행위를 말해요.

  • 단독행위다 → 계약과 다름
  • 법적인 효과를 가진다 → 단순한 행정지도와 다름

2. 행정행위의 종류

① 효과에 따른 구분

  • 수익적 행위: 허가, 면허, 보조금 지급 등
  • 침익적 행위: 세금부과, 영업정지 등
  • 복효적 행위: 어떤 사람에게는 이익, 다른 사람에게는 손해 (예: 공장허가 → 신청자에겐 이익, 주변 주민에겐 피해)

② 재량 vs 기속

  • 재량행위: 행정청이 판단해서 결정 (예: 주차 단속 순서)
  • 기속행위: 법에 따라 반드시 해야 하는 것 (예: 등록요건 다 갖춘 회사 등록 허가)

③ 법률행위 vs 준법률행위

  • 법률행위적 행정행위: 하명, 허가, 인가, 특허, 면제 등
  •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확인, 공증, 통지, 수리 등

→ 복잡해 보이지만, 시험엔 하명, 허가, 인가, 수리 같은 용어 중심으로 나와요!


3. 예시로 쉽게 보기

  • 영업허가 → 수익적 행정행위
  • 영업정지 처분 → 침익적 행정행위
  • 화학공장 건축 허가 → 복효적 행정행위
  • 이사장 승인 → 인가
  • 출생신고 접수 → 수리

예시 문제

  1. 행정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세금 부과
    ② 허가 취소
    ③ 영업장 허가
    ④ 선거 투표

    정답: ④

  2. 국민에게 권리나 의무를 직접 부여하는 법적 효과가 있는 행위는?
    ① 행정지도
    ② 공표
    ③ 행정행위
    ④ 민간계약

    정답: ③


한 줄 요약 퀴즈

Q. 행정청이 국민에게 법적인 영향을 주는 일방적 결정은?
정답: 행정행위


태그: 행정행위, 수익적행정행위, 침익적행정행위, 재량행위, 기속행위, 행정법기초, 행정사시험, 청소년행정학, 티스토리블로그